바로가기 메뉴

메뉴 열기

문경시

검색
사이트맵 보기

문경자랑

긍정의 힘! YES 문경!

과거보는 옛길

시가 있는 옛길

문경 주막에서 월사 선생께 드리다

문경 주막에서 월사 선생께 드리다

聞慶酒幕 奉寄月沙先生
幾年門下受恩私
主屹山前馬時
西望長安千里遠
雪晴茅店自吟詩

문하에서 입은 은혜 몇몇 해입니까
주흘산 아래에서 풀 먹일 때지요.
서쪽으로 바라보는 서울이 아득하여
눈 개인 주막에서 혼자 읊조립니다.

고용후(高用厚)<1577년(선조10) ~ 1652년(효종3)>

조선중기 문신, 본관 장흥(長興), 호 청사(晴沙), 남원부사 역임, 저서『청사집(晴沙 集)』등

새재의 용담을 지나며

새재의 용담을 지나며

過鳥嶺龍潭
雷雨包藏只一泓
兩邊山木作幽情
問龍夙世脩何行
今日深潭臥不驚

우렁찬 폭포 소리 물 속에 잦아들고
에워싼 나무들로 그윽하고 깊어라.
용아, 너는 예로부터 어떻게 닦았기에
지금 여기 누워서도 놀라지 않느냐?

홍언충(洪彦忠)<1473년(성종4) ~ 1508년(중종3)>

조선전기 문신. 본관 부계(缶溪), 호 우암(寓菴), 문경출생, 저서『우암집(寓菴集)』등

새재 길에서 문득 노래하다

새재 길에서 문득 노래하다

鳥嶺路上偶吟
流水蛟蛇走
奇峯劒戟森
秋風西去路
匹馬費長吟

흐르는 시냇물 뱀처럼 날래고
기이한 봉우리 창검을 세운 듯.
찬바람 맞으며 서울로 가는 길
필마는 숨이 차서 헐떡거리네.

조임도(趙任道)<1585년(선조18) ~ 1664년(현종5)>

조선중기 학자. 본관 함안(咸安). 호 간송당(澗松堂), 공조좌랑 등 역임, 저서『간송집(澗松集)』

대구 어버이 뵈러 가는 길에 새재를 넘으며

대구 어버이 뵈러 가는 길에 새재를 넘으며

將向大丘覲親 踰鳥嶺
崎嶇鳥嶺似羊腸
瘦馬凌兢步步
爲報行人莫相怨
欲登高處望吾鄕

꾸불꾸불 새재 길 양장 같은 길
지친 말 부들부들 쓰러질 듯 오르네.
길 가는 이 우리를 나무라지 마시게
고갯마루 올라서서 고향 보려함일세

서거정(徐居正)<1420(세종 2) ~ 1488(성종 19)>

조선초기 문신ㆍ학자. 본관 대구(大邱). 호 사가정(四佳亭). 대제학 역임, 저서『사가집』등.

겨울날 서울 가는 길에 새재를 넘으며(冬日領內赴京 踰鳥嶺作)

겨울날 서울 가는 길에 새재를 넘으며(冬日領內赴京 踰鳥嶺作)

嶺路崎山虛苦不窮
危橋側棧細相通
長風馬立松聲裏
盡日行人石氣中
幽澗結氷厓共白
老藤經雪葉猶紅
到頭正出林界
西望京華月似弓

새재의 험한 산길 끝이 없는 길
벼랑길 오솔길로 겨우겨우 지나가네.
차가운 바람은 솔숲을 흔드는데
길손들 종일토록 돌길을 오가네.
시내도 언덕도 하얗게 얼었는데
눈 덮인 칡넝쿨엔 마른 잎 붙어있네.
마침내 똑바로 새재를 벗어나니
서울 쪽 하늘엔 초생달이 걸렸네

정약용(丁若鏞)<1762년(영조38) 1836년(헌종2)>

조선후기 학자ㆍ정치가, 본관 나주(羅州), 호 다산(茶山), 실학집대성, 저서 『목민심서(牧民心書)』 등

새재를 넘어 시골집에 묵다(踰鳥嶺 宿村家)

새재를 넘어 시골집에 묵다(踰鳥嶺 宿村家)

嶺分南北與西東
路入靑山中
春好嶺南歸不得
啼盡五更風

새재는 남북과 동서를 나누는데
그 길은 아득한 청산으로 들어가네.
이 좋은 봄날에도 고향으로 못 가는데
소쩍새만 울며불며 새벽바람 맞는구나.

김시습(金時習)<1435년(세종17) ~ 1493년(성종24)>

조선전기 학자. 본관 강릉(江陵). 호 매월당(梅月堂). 시호 청간(淸簡).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
저서 『금오신화(金鰲新話)』, 『매월당집(梅月堂集)』등

새재에서 묵다..(宿鳥嶺)

새재에서 묵다..(宿鳥嶺)

登登涉險政斜暉
小店依山汲路微
谷鳥避風尋去
邨童踏雪拾樵歸
羸伏啖枯草
倦僕燃松冷衣
夜久不眠靜
漸看霜月透柴扉

험한 길 벗어나니 해가 이우는데
산자락 주점은 길조차 가물가물.
산새는 바람 피해 숲으로 찾아들고
아이는 눈 밟으며 나무 지고 돌아간다.
야윈 말은 구유에서 마른 풀 씹고
피곤한 몸종은 차가운 옷 다린다.
잠 못 드는 긴 밤 적막도 깊은데
싸늘한 달빛만 사립짝에 얼비치네.

이 이(李 珥)<1536년(중종31) ~ 1584년(선조17)>

조선중기 문신ㆍ학자. 본관 덕수(德水), 호 율곡(栗谷). 시호 문성(文成). 이조판서 등 역임.
저서 『격몽요결(擊蒙要訣)』등

새재에서 묵다..(宿鳥嶺村店)

새재에서 묵다..(宿鳥嶺村店)

林風起
溪響生
幽懷正遞
山月自分明
浮世身如寄
殘年病轉
南來還北去
簪笏愧虛名

살랑살랑 솔바람 불어오고
졸졸졸 냇물 소리 들려오네.
나그네 회포는 끝이 없는데
산 위에 뜬 달은 밝기도 해라.
덧없는 세월에 맡긴 몸인데
늘그막 병치레 끊이질 않네.
고향에 왔다가 서울로 가는 길
높은 벼슬 헛된 이름 부끄럽구나.

류성룡(柳成龍)<1542년(중종37) ~ 1607년(선조40)>

조선중기 학자ㆍ문신, 본관 풍산(豊山), 호 서애(西厓), 시호 문충(文忠), 영의정 역임, 저서 『징비록(懲毖錄)』 등

새재로 가는길..(鳥嶺途中)

새재로 가는길..(鳥嶺途中)

雉鳴角角水潺潺
細雨春風匹馬還
路上逢人猶喜色
語音知是自鄕關

산 꿩 꾹꾹, 시냇물 졸졸
봄비 맞으며 필마로 돌아오네.
낯선 사람 만나서도 반가운 것은
그 말씨 정녕코 내 고향 사람일세.

이 황(李 滉)<1501년(연산군7) ~ 1570년(선조3)>

조선중기 학자ㆍ문신. 본관은 진성(眞城). 호 퇴계(退溪). 시호 문순(文純). 예조판서 등 역임.
영남학파 주류 형성. 저서 『퇴계전서(退溪全書)』 등

페이지 담당자
  • 문경새재관리사무소 (054-550-8363)
최종 수정일자
2018-04-02
페이지 만족도